본문 바로가기

Linux12

Linux(함수)_2024-08-09 기본형식함수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합니다.함수명(){ 수행문}함수 안에는 지금까지 살펴본 if, case, for, while 문 등이 올 수 있습니다.셸 스크립트 내에서 함수 호출은 '함수명 인자' 를 작성해 주기만 하면 됩니다. 사용 예디렉토리(또는 파일) 크기를 체크하는 셸 스크립트 check_size.sh 스크립트입니다.#!/bin/bash#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함수disk_usage() { local file_path=$1 # 첫 번째 파라미터를 file_path 변수에 저장 if [ -e "$file_path" ]; then # 파일 또는 디렉토리가 존재하는지 확인 echo "[$file_path]의 디스크 사용량:" .. 2024. 8. 9.
Linux(반복문)_2024-08-09 for 문for 문의 기본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for 변수명 in 변수값1 변수값2 변수값3 ...do 수행문done#!/bin/bashfor i in {1..5}do echo "$i"done 한 줄 for 문셸 프롬프트에서 한 줄 for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for i in {2..10};do ping -c 1 -w 1 192.168.0.$i;done192.168.0.2 ~ 192.168.0.10 까지 ping 을 시도합니다.for 문으로 ping 해서 응답있는 IP 만 출력합니다.for i in {2..254};do ping -c 1 -w 1 -q 192.168.0.$i &>/dev/null && echo 192.168.0.$i;done while 문while 문의 기본형식은 다음과 같습.. 2024. 8. 9.
Linux(필수명령어)_2024-08-07 head -n 5 /etc/crontab tail -n 10 /etc/crontab cat -n /etc/crontab | tail -n 10 cat -n /etc/crontab | head -n 10 ① df -h 명령어  (df -h)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합니du 다.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의 용량, 사용량, 남은 공간 등을 보여줍니다. *-h 옵션은 용량을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KB, MB, GB 등)로 표시합니다. ② du 명령어:  (du -sh /home) 특정 디렉토리가 차지하는 공간을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s 옵션은 각 디렉토리의 총 크기만 표시하고,  -h 옵션은 용량을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로 표시합니다. ③ lsblk 명령어 (lsblk -f) - 블록 장치 정보를 보여줍니다... 2024. 8. 7.
Linux(필수명령어)_2024-08-06 usermod -a -G kbc sim usermod -a -G kbc 새로운 그룹명, 사용자명 -a : 사용자를 기존 그룹에 유지하면서 새로운 그룹에 추가한다. -G : 그룹을 지정하는 옵션 groups + 사용자명 sudo grpasswd -d username kbc sudo groupdel kbc cat /etc/group : 그룹 확인하기 cat /etc/group | grep guest sudo adduser sim : 새로운 계정 cat etc/passwd | grep sim  usermod -aG sim sim1 : 그룹추가함수 groups sim : 사용자명(어떤 그룹) cat /etc/grop | grep test(등록된 그룹확인) sudo userdel -r guest : 계정삭제 ca.. 2024. 8. 6.
Linux(연습문제)_2024-08-05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1. 현재 디렉토리에 "documents"라는 이름의 새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그 안에 "report.txt"라는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를 작성하세요.mkdir documentstouch documents/report.txt 2. "documents" 디렉토리 안의 모든 파일을 "backup"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디렉토리로 복사하는 명령어를 작성하세요.mkdir backupcp -r ./documents/* ./backup/ 3. "backup" 디렉토리의 이름을 "old_files"로 변경하는 명령어를 작성하세요.mv backup old_files4. "report.txt"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를 작성하세요. (주의: 삭제하기 전에 반드시 백업을 권장합니다.) rm docume.. 2024. 8. 5.
Linux(기본명령어)_2024-08-05 pwd : 현재위치확인whoami : 로그인 확인ls : 현재의 디렉토리 파일/디렉토리 표시-a : 숨겨진 파일보기-F : 디렉토리 표시-l : 화면 상세보기cd : 경로 옮기기 ☞ cd /home/testmkdir : 디렉토리 생성 ☞ mkdir LGrmdir : 디렉토리 삭제 ☞ rmdir LG파일, 숨은파일이 존재하면 안지워짐.. 그럴 경우에는 rm -r로 파일을 지울 수 있다.echo : 내용있는 파일 생성 ☞ echo "안녕하세요" > 1.txttouch : 내용 없는 빈 파일 생성 ☞ touch a b ccat : 파일내용을 확인가능 ☞ cat 1.txt, cat work/1.txt work 1.txt, cat /ect/basch.bashrc rm : 파일 지우기 rm -i : 파일 삭제.. 2024.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