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파이썬(합계와 평균 구하기)_2024-06-03

by 앵보몬 2024. 6. 3.
728x90
반응형
1. 과목별 합계와 평균 구하는 방법

name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 ')
korea = int(input('국어점수를 입력하세요 : '))
english = int(input('영어점수를 입력하세요 : '))
math = int(input('수학점수를 입력하세요 : '))

total = korea + english + math
average = total / 3

print("이름 : ", name)
print("합계 : ", total)
print(f"평균 : {average:.2f}")
2. 과일의 구매 가격을 계산하는 프로그램

apple = int(input('사과가격을 입력하세요 : '))
banana = int(input('바나나가격을 입력하세요 : '))
orange = int(input('오랜지가격을 입력하세요 : '))

applecount = int(input('사과의 개수를 입력하세요 : '))
bananacount = int(input('바나나의 개수를 입력하세요 : '))
orangecount = int(input('오랜지의 개수를 입력하세요 : '))

total = apple*applecount + banana*bananacount + orange*orangecount
average = total / (applecount + bananacount + orangecount)

print("총 구매가격 : ", total)
print(f"총 평균구매가격 : {average:.2f}")

 

숫자 계산하기

숫자의 덧셈은 +, 뺄셈은 -, 곱셈은 *, 나눗셈은 /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특히 파이썬 셸은 숫자의 계산 결과를 바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 1 + 1
2
>>> 1 - 2
-1
>>> 2 * 2
4
>>> 5 / 2
2.5

 

계산 결과를 정수, 실수로 만들기

int에 ( )괄호를 붙이고 값 또는 계산식을 넣으면 결과를 정수로 만들며, float에 넣으면 실수로 만듭니다.

>>> int(5 / 2)      # 실수 2.5를 정수 2로 만듦
2
>>> float(1 + 2)    # 정수 3을 실수 3.0으로 만듦
3.0

 

괄호 사용하기

식에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이 함께 있을 때는 곱셈과 나눗셈부터 계산합니다. 만약 곱셈보다 덧셈을 먼저 계산하고 싶다면 덧셈 부분을 ( )(괄호)로 묶어줍니다.

>>> 35 + 1 * 2
37
>>> (35 + 1) * 2
72

 

변수 만들기

변수는 변수이름 = 값 형식으로 만듭니다.

x = 10

 

변수 삭제하기

변수를 삭제할 때는 del 변수 형식으로 삭제합니다.

>>> x = 10
>>> del x

 

변수 여러 개 만들기

변수 여러 개를 한 번에 만들 때는 변수이름1, 변수이름2, 변수이름3 = 값1, 값2, 값3과 같이 변수를 ,(콤마)로 구분한 뒤 각 변수에 할당될 값을 지정해주면 됩니다.

a, b, c = 10, 20, 30

또는, 변수1 = 변수2 = 변수3 = 값과 같이 변수 여러 개를 =로 연결하고 마지막에 값을 할당해주면 같은 값을 가진 변수 여러 개가 만들어집니다.

x = y = z = 10

 

산술 연산 후 할당 연산자 사용하기

산술 연산자 앞에 =(할당 연산자)를 붙이면 연산 결과를 변수에 저장합니다. 단, 이때는 미리 변수를 만들고 값을 할당해 두어야 합니다.

>>> a = 10
>>> a += 20
>>> a
30

a += 20은 a = a + 20를 축약한 형태입니다.

 

객체의 자료형 알아내기

객체(변수)가 어떤 타입(자료형)인지 알고 싶을 때는 type 함수를 사용합니다.

>>> type(3.3)
<class 'float'>
>>> x = 10
>>> type(x)
<class 'int'>

파이썬에서는 숫자도 객체(object)이며, 객체는 클래스(class)로 표현합니다.

 

입력 값을 변수에 저장하기

입력 값을 변수에 저장할 때는 input 함수를 사용합니다. 여기서 input을 그대로 사용하면 문자열로 저장되고, input을 int에 넣어주면 정수, float에 넣어주면 실수로 저장합니다.

s = input()           # 입력값을 문자열로 저장
a = int(input())      # 입력값을 정수로 저장
b = float(input())    # 입력값을 실수로 저장

 

한 번에 여러 개 입력받기

input 함수로 값을 여러 개 입력받으려면 input에서 split을 사용하면 됩니다. 만약 split의 결과를 정수 또는 실수로 변환하려면 map int 또는 float를 지정해줍니다.

a, b = input().split()                # 값 두 개를 입력받아 변수 두 개에 문자열로 저장
a, b = map(int, input().split())      # 값 두 개를 입력받아 변수 두 개에 정수로 저장
a, b = map(float, input().split())    # 값 두 개를 입력받아 변수 두 개에 실수로 저장

 

값을 여러 개 출력하기

print 함수로 값을 여러 개 출력하려면 변수나 값을 ,(콤마)로 구분해서 넣어줍니다.

>>> print(1, 2, 3)
1 2 3

 

print 함수의 출력 방식 제어하기

print 함수의 sep에 문자(문자열)를 지정하면 값 사이에 문자(문자열)를 넣어줍니다.

>>> print(1, 2, 3, sep=', ')    # 값 사이에 ,와 공백 출력
1, 2, 3

print 함수의 end에 문자(문자열)를 지정하면 출력하는 값 끝에 해당 문자(문자열)을 넣어줍니다.

print(1, end=' ')    # 1을 출력한 뒤 공백 출력
print(2)             # 2가 이어서 출력됨
실행결과

1 2

 

개행 문자(줄바꿈 문자)

문자열에서 제어 문자 \n을 사용하면 다음 줄로 넘어갑니다.

>>> print('1\n2\n3')    # \n을 사용하면 다음 줄로 넘어감
1
2
3

 

산술 연산자

▼ 표 7-1 파이썬 산술 연산자

연산자 기능 문법 설명
+ 덧셈 a + b 두 값을 더함
- 뺄셈 a - b a에서 b를 뺌
* 곱셈 a * b 두 값을 곱함
/ 나눗셈 a / b a에서 b를 나누며 결과는 실수
// 버림 나눗셈
(floor division)
a // b a에서 b를 나누며 소수점 이하는 버림
% 나머지 a % b a에서 b를 나누었을 때 나머지를 구함
** 거듭제곱 a ** b a b번 곱함
@ 행렬 곱셈 a @ b 행렬 a b를 곱함
+ 양수 부호 +a a에 양수 부호를 붙임
- 음수 부호 -a a에 음수 부호를 붙임
+= 덧셈 후 할당 a += b a b를 더한 후 결과를 a에 할당
-= 뺄셈 후 할당 a -= b a에서 b를 뺀 후 결과를 a에 할당
*= 곱셈 후 할당 a *= b a b를 곱한 후 결과를 a에 할당
/= 나눗셈 후 할당 a /= b a에서 b를 나눈 후 결과를 a에 할당(결과는 실수)
//= 버림 나눗셈 후 할당 a //= b a에서 b를 나눈 후 결과를 a에 할당(소수점 이하는 버림)
%= 나머지 연산 후 할당 a %= b a에서 b를 나누었을 때 나머지를 구하여 a에 할당
**= 거듭제곱 후 할당 a **= b a b번 곱한 후 결과를 a에 할당
@= 행렬 곱셈 후 할당 a @= b 행렬 a b를 곱한 후 결과를 a에 할당

https://dojang.io/mod/page/view.php?id=218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