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 <stdio.h>
int main(){
int i, n;
printf("단을 입력하세요. : ");
scanf("%d", &n);
for (i=1; i <= 9; i++)
{
printf(" %d * %d = %2d\n", n, i, n*i);
}
return 0;
}
9 * 1 = 9
9 * 2 = 18
9 * 3 = 27
9 * 4 = 36
9 * 5 = 45
9 * 6 = 54
9 * 7 = 63
9 * 8 = 72
9 * 9 = 81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t main()
{
int num1 = 20;
int *numPtr1;
numPtr1 = &num1;
int *numPtr2;
numPtr2 = malloc(sizeof(int));
printf("%p\n", numPtr1);
printf("%p\n", numPtr2);
free(numPtr2);
return 0;
}
000000000061FE0C
0000000000961400
#include <stdio.h>
int main(){
int num1;
printf("정수 입력하세요. : ");
scanf("%d", &num1);
if (num1 % 2 ==0)
{
printf("짝수이면 odd\n");
}
else if (num1 % 2 == 1)
{
printf("홀수이면 even\n");
}
printf("당신이 입력한 수는 %d\n", num1);
printf("입력완료\n");
}
정수 입력하세요. : 5
홀수이면 even
당신이 입력한 수는 5
입력완료
#include <stdio.h>
int main(){
int kok[5] = {50, 80, 120, 40, 90};
int eng[5] = {80, 98, 85, 46, 85};
int sum = 0;
float avg = 0;
int max, min;
for (int i=0; i < 5; i++)
{
sum = kok[i] + eng[i];
avg = (float)sum / 2;
printf("학생 %d : 합계 = %d, 평균 = %.2f\n", i+1, sum, avg);
}
max = kok[0];
min = kok[0];
for (int i=1; i < 5; i++)
{
if (kok[i] > max)
max = kok[i];
if (kok[i] < min)
min = kok[i];
}
printf("\n 국어점수 최고점수 : %d, 최저점수 %d\n", max, min);
max = kok[0];
min = kok[0];
for (int i=1; i < 5; i++)
{
if (eng[i] > max)
max = eng[i];
if (eng[i] < min)
min = eng[i];
}
printf("\n 영어점수 최고점수 : %d, 최저점수 %d\n", max, min);
return 0;
}
학생 1 : 합계 = 130, 평균 = 65.00
학생 2 : 합계 = 178, 평균 = 89.00
학생 3 : 합계 = 205, 평균 = 102.50
학생 4 : 합계 = 86, 평균 = 43.00
학생 5 : 합계 = 175, 평균 = 87.50
국어점수 최고점수 : 120, 최저점수 40
영어점수 최고점수 : 98, 최저점수 46
#include <stdio.h>
int main(){
int numArr[3][4] = {
{11, 22, 33, 44},
{55, 66, 77, 88},
{99, 110, 121, 132}
};
printf("%d\n", numArr[0][0]);
printf("%d\n", numArr[1][2]);
printf("%d\n", numArr[2][0]);
printf("%d\n", numArr[2][3]);
return 0;
}
11
77
99
132
#include <stdio.h>
int main(){
int array[2][3] = {
{1, 2, 3},
{4, 5, 6}
};
for (int i=0; i<2; i++){
for(int j=0; j<3; j++){
printf("%d", array[i][j]);
}
printf("\n");
}
return 0;
}
123
456
배열
배열은 같은 자료형의 변수를 일렬로 늘어놓은 형태입니다. [ ]에 크기를 지정하여 선언하며 선언된 배열에서 [ ]사이에 인덱스를 지정하여 요소에 접근합니다. 특히 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
자료형 배열이름[크기]; // 배열 선언하기
자료형 배열이름[크기] = { 값, 값, 값 }; // 배열을 선언하면서 값을 초기화하기
배열[인덱스]; // 배열의 요소에 접근
배열[0]; // 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므로 첫 번째 요소
배열[인덱스] = 값; // 배열의 요소에 값 저장
자료형 *포인터; // 배열을 넣을 수 있는 포인터
2차원 배열
2차원 배열은 가로x세로의 평면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차원 배열을 선언할 때는 [ ]를 두 번 사용하여 선언하며 첫 번째 대괄호에는 세로 크기, 두 번째 대괄호에는 가로 크기를 지정합니다. 일반적으로 2차원 공간은 가로x세로로 표기하지만 배열로 만들 때는 세로x가로로 표기합니다.
자료형 배열이름[세로크기][가로크기]; // 2차원 배열 선언하기
자료형 배열이름[세로크기][가로크기] = { { 값, 값, 값 }, {값, 값, 값} }; // 2차원 배열을 선언하면서
// 값 초기화하기
배열[세로인덱스][가로인덱스]; // 2차원 배열의 요소에 접근
배열[세로인덱스][가로인덱스] = 값; // 2차원 배열의 요소에 값 저장
자료형 (*포인터이름)[가로크기]; // 2차원 배열을 넣을 수 있는 포인터
3차원 배열
3차원 배열은 높이x세로x가로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3차원 배열은 [ ]에 높이, 세로 크기, 가로 크기를 지정하여 선언합니다. 3차원 공간은 가로x세로x높이로 표기하지만 배열로 만들 때는 높이x세로x가로로 표기합니다.
자료형 배열이름[높이][세로크기][가로크기]; // 3차원 배열 선언하기
자료형 배열이름[높이][세로크기][가로크기] = { // 2차원 배열을 선언하면서 값 초기화하기
{
{ 값, 값, 값 },
{ 값, 값, 값 }
},
{
{ 값, 값, 값 },
{ 값, 값, 값 }
}
};
배열[높이인덱스][세로인덱스][가로인덱스]; // 3차원 배열의 요소에 접근
배열[높이인덱스][세로인덱스][가로인덱스] = 값; // 3차원 배열의 요소에 값 저장
자료형 (*포인터이름)[세로크기][가로크기]; // 3차원 배열을 넣을 수 있는 포인터
배열의 크기 구하기
배열의 크기를 구할 때는 sizeof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sizeof(배열); // 배열이 차지하는 전체 공간 구하기
sizeof(배열) / sizeof(자료형)); // 배열의 크기 구하기
// 배열이 차지하는 전체 공간을 요소의 크기로 나눠줌
// 또는 sizeof(배열) / sizeof(배열[0]);
sizeof(배열) / sizeof(배열[0]); // 2차원 배열의 세로 크기를 구하기
// 배열이 차지하는 전체 공간을 가로 한 줄의 크기로 나눠줌
sizeof(배열[0]) / sizeof(자료형); // 2차원 배열의 가로 크기 구하기
// 가로 한 줄의 크기를 요소의 크기로 나눠줌
// 또는 sizeof(배열[0]) / sizeof(배열[0][0]);
sizeof(배열) / sizeof(배열[0]); // 3차원 배열의 높이 구하기
// 배열이 차지하는 전체 공간을 면의 크기로 나눠줌
sizeof(배열[0]) / sizeof(배열[0][0]); // 3차원 배열의 세로 크기 구하기
// 한 면의 크기를 가로 한 줄의 크기로 나눠줌
sizeof(배열[0][0]) / sizeof(자료형); // 3차원 배열의 가로 크기 구하기
// 가로 한 줄의 크기를 요소의 크기로 나눠줌
// 또는 sizeof(배열[0][0]) / sizeof(배열[0][0][0]);
포인터를 배열처럼 사용하기
포인터에 메모리를 할당한 뒤 [ ]에 인덱스를 지정하면 배열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형 *포인터이름 = malloc(sizeof(자료형) * 크기); // 포인터를 배열처럼 사용할 수 있음
포인터[인덱스] // 포인터 사용
free(포인터); // 메모리 해제
포인터를 2차원 배열처럼 사용하려면 이중 포인터를 선언한 뒤 세로 공간 메모리를 할당하고, 반복문으로 가로 공간 메모리를 할당하면 됩니다. 해제할 때는 가로 → 세로 순서입니다.
// 포인터를 2차원 배열처럼 사용할 수 있음
자료형 **포인터이름 = malloc(sizeof(자료형 *) * 세로크기); // 배열의 세로 공간 메모리 할당
for (int i = 0; i < 세로크기; i++) // 세로 크기만큼 반복
{
포인터[i] = malloc(sizeof(자료형) * 가로크기); // 배열의 가로 공간 메모리 할당
}
포인터[세로인덱스][가로인덱스]; // 포인터 사용
// 포인터 해제
for (int i = 0; i < 세로 크기; i++) // 세로 크기만큼 반복
{
free(포인터[i]); // 가로 공간 메모리 해제
}
free(포인터); // 세로 공간 메모리 해제
2차원 배열처럼 사용하는 이중 포인터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은 모양이 됩니다.
▼ 그림 2차원 배열처럼 사용하는 이중 포인터

포인터를 3차원 배열처럼 사용하려면 삼중 포인터를 선언한 뒤 먼저 면 공간 메모리를 할당합니다. 반복문으로 세로 공간 메모리를 할당하면서 다시 반복문으로 가로 공간 메모리를 할당하면 됩니다. 해제할 때는 가로 → 세로 → 면 순서입니다.
// 포인터를 3차원 배열처럼 사용할 수 있음
자료형 ***포인터이름 = malloc(sizeof(자료형 **) * 높이); // 배열의 면 공간 메모리 할당
for (int depth = 0; depth < 높이; depth++)
{
포인터[depth] = malloc(sizeof(자료형 *) * 세로크기); // 배열의 세로 공간 메모리 할당
for (int row = 0; row < 세로크기; row++) // 세로 크기만큼 반복
{
포인터[depth][row] = malloc(sizeof(자료형) * 가로크기); // 배열의 가로 공간 메모리 할당
}
}
포인터[높이인덱스][세로인덱스][가로인덱스]; // 포인터 사용
// 포인터 해제
for (int depth = 0; depth < 높이; depth++) // 높이만큼 반복
{
for (int row = 0; row < 세로크기; row++) // 세로 크기만큼 반복
{
free(포인터[depth][row]); // 가로 공간 메모리 해제
}
free(포인터[depth]); // 세로 공간 메모리 해제
}
free(포인터); // 면 공간 메모리 해제
3차원 배열처럼 사용하는 삼중 포인터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은 모양이 됩니다.
▼ 그림 3차원 배열처럼 사용하는 삼중 포인터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함수 포인터)_2024-05-20 (0) | 2024.05.20 |
---|---|
c언어(구조체와 배열)_2024-05-17 (0) | 2024.05.17 |
c언어(switch 조건문)_2024-05-14 (0) | 2024.05.14 |
c언어(if 조건문)_2024-05-13 (0) | 2024.05.13 |
c언어(정수, 실수, 문자 입력받기)_2024-05-10 (0) | 2024.05.10 |